일호지천(一壺之天) / 사자성어 공부(90)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90일차 (1) 일호지천(一壺之天) 한 일, 병 호, 갈 지, 하늘 천 하나의 호리병속의 세계를 말하는 것으로 별천지이거나 신세계를 뜻한다. 일호지천(一壺之天)·호천(壺天)·호중천(壺中天)·호중지천(壺中之天)·호중천지(壺中天地)라고도 한다. 비장방(費長房)은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22
건곤일척(乾坤一擲) / 사자성어 공부(89)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9일차 (1) 건곤일척(乾坤一擲) 하늘 건, 땅 곤, 한 일, 던질 척 승패와 명운을 걸고 마지막 한 판의 승부를 겨루는 것. 원래 하늘과 땅을 걸고, 즉 운을 하늘에 맡기고 한번 던져 본다는 뜻인데, 중국 당(唐)나라 제일의 문장가 한유(韓愈)가 지은 <과홍구(過鴻溝)&g..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21
남부여대(男負女戴) / 사자성어 공부(88)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8일차 (1) 남부여대(男負女戴) 사내 남, 짐질 부, 계집 여, 일 대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간다는 말로 가난한 사람들의 행색을 부르는 말. 「남자(男子)는 짐을 등(等)에 지고, 여자(女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災..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20
칠전팔기(七顚八起) / 사자성어 공부(87)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7일차 (1) 칠전팔기(七顚八起) 일곱 칠, 엎드러질 전, 여덟 팔, 일어날 기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선다는 뜻으로, 아무리 실패를 거듭해도 결코 포기하거나 굴하지 않고 계속 분투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삼전사기·사전오기·오전육기·육..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9
일안고공(一雁高空) / 사자성어 공부(86)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6일차 (1) 일안고공(一雁高空) 한 일, 기러기 안, 높을 고, 허공 공 높은 하늘에 기러기 한 마리라는 뜻 기러기는 떼지어 나는 데, 무리에서 빠져 나온 한 마리 기러기가 높고 맑은 가을 하늘을 높이 날아가는 모양(模樣)으로, 고독(孤獨)한 심경(心境)과 고고한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8
공자천주(孔子穿珠) / 사자성어 공부(85)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5일차 (1) 공자천주(孔子穿珠) 구멍 공, 아들 자, 뚫을 천, 구슬 주 공자라도 구슬은 어렵게 꿴다는 말로, 어질고 유식한 사람도 남에게 배울것이 있다는 말이다. 공자(孔子)가 아홉 구비 굽은 구슬에 실을 꿰지 못해 애쓰는 것을 보고 시골 여자가 개미 허리에 실..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7
추호불범(秋毫不犯) / 사자성어 공부(84)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4일차 (1) 추호불범(秋毫不犯) 가을 추, 터럭 호, 아닐 불, 범할 범 몹시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범하지 않음. 軍隊(군대)의 紀綱(기강)이 嚴格(엄격)한 것을 일컬음. (2) 계림일지(桂林一枝) 계수나무 계, 수풀 림, 한 일, 가지 지 계수나무 숲의 가지 하나, 즉 대..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6
형제투금(兄弟投金) / 사자성어 공부(83)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3일차 (1) 형제투금(兄弟投金) 형 형, 아우 제, 던질 투, 금 금 형제가 금을 내던졌다는 말로 형제끼리 서로 욕심부리지 않고 우애를 다졌다는 뜻. 같이 길을 가던 형제가 금덩이를 주워 나눠 가졌다. 그런데 동생이 갑자기 자기 몫의 금덩이를 강물에 던져버렸다.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5
박이부정(博而不精) / 사자성어 공부(82)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2일차 (1) 박이부정(博而不精) 넓을 박, 말 이을 이, 아니 불, 정할 정 학문의 넓이는 있지만 하나하나 깊이가 없다. 박사(博士)는 ‘넓게 아는 선비’란 뜻으로 현재의 교육제도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위죠. 그런데 위의 표현에서는 넓게 아는 것이 썩 좋게 여..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4
강좌칠현(江左七賢) / 사자성어 공부(81)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81일차 (1) 강좌칠현(江左七賢) 강 강, 왼 좌, 일곱 칠, 어질 현 고려 후기 청담풍(淸談風)의 일곱 선비. 서로 의를 맺어 망년지우(忘年之友)를 삼고 시와 술을 즐긴 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임춘(林椿)·조통(趙通)·황보항(皇甫抗)·함순(咸淳)·이담지(.. 사자성어 공부방 201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