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공부방

골육상쟁(骨肉相爭) / 사자성어 공부(66)

홍통사 2017. 5. 29. 17:30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66일차






(1) 골육상쟁(骨肉相爭)      뼈 골, 고기 육, 서로 상, 다툴 쟁


     형제나 친족 또는 동포끼리 싸우는 것.




뼈와 살은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가까운 사이죠. 동족보다 더 가까운 사이가 골육(骨肉)인데 둘이 싸우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함께 멸망하는 거죠. 반대로 같은 동포끼리 서로 평화롭게 산다면 어떻겠습니까? 






(2) 자연도태(自然淘汰)     스스로 자, 그럴 연, 쌀 일 도, 일 태


     자연적으로 환경에 적합한 것만 살아남고 필요없는 것은 소멸되는 법칙




가장 적합한 것만이 살아남는 진화과정을 말한다. 진화론은 1858년에 다윈(Charles Darwin)과 왈라스(A.R. Wallace)에 의해 주장되었으며, 개별적 특징은 한 개체군에서 발견되는 변이성이라고 보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이 사실은, 결과적으로 어떤 개체가 생존에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현재의 환경에서 생존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므로 자신들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고 재생산하게 된다). 만약 적도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피부색소가 다양하다면, 검은 피부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좀더 옅은 피부유전자를 가진 사람들보다 재생산하면서 살 가능성이 큰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도태 [natural selection] (사회학사전, 2000. 10. 30., 사회문화연구소)


 


 


(3) 자중지란(自中之亂)     스스로 자, 가운데 중, 어조사 지, 어지러울 란


     같은 편끼리 내분이 일어나 분열되는 것.



같은 민족 사이에 공존공영(共存共榮)을 하자, 하지 말자 하면서 내부에서 갈등이 일어나면 정말 슬픈 일입니다. 안 되는 무리 내부에서는 반드시 자중지란(自中之亂)이 벌어지지요. 잘못을 서로 남의 탓으로 전가하는 데서 자중지란은 비롯됩니다. 반대로 서로 자신의 잘못으로 받아들인다면 자중지란은 일어날래야 일어날 수가 없죠.

[네이버 지식백과] 자중지란 [自中之亂] - (스스로 자, 가운데 중, 조사 지, 어지러울 란) (고사성어랑 일촌 맺기, 2010. 9. 15., 서해문집)






(4) 논공행상(論功行賞)     논할 논, 공 공, 다닐 행, 상줄 상


     어떤 일에 대한 공로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상을 줌.



공로를 조사하여 크고 작음에 따라 서열을 매겨 상()을 내린다. 《삼국지(三國志)》〈오서(吳書) 고담전(顧譚傳)〉편에 있는 이야기이다.


삼국시대 오()나라의 고담은 명장 고옹(顧雍)의 손자로, 어렸을 때부터 수재로 알려졌다. 그는 모든 일을 막힘없이 처리하며 사물을 보는 눈이 독창적이어서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는 꾸밈없는 인품으로 누구에게나 솔직하게 말하였다. 국왕인 손권(孫權)에게도 진언(進言)을 한 일이 있었다. 그 후부터 손권은 가끔 그를 불러 그의 의견을 들었다.

언젠가 노()나라 왕 손패(孫覇)가 오나라 태자 손화(孫和)와 같은 대우를 해주기를
손권에게 요구해 왔다. 고담은 역사상 형제간 싸움의 사례를 들어 손패의 요구를 억제하도록 손권에게 진언하였다. 이 일이 있은 후 손패는 고담을 원망하게 되었다. 그 무렵 위()나라 장군 전종(全琮)의 아들 전기(全奇)가 고담과의 교제를 청하였다가 거절당한 일이 있었다. 이런 일 등으로 해서 손패와 전기는 손을 잡고 고담을 실각시키기 위한 계략을 꾸미기 시작하였다.

기원 241년,
손권은 전종을 대장으로 삼아 위()나라의 회남(淮南)으로 출병하여 위나라 장수 왕릉(王凌)과 작피(芍陂:안휘성에 있음)에서 결전을 벌였으나 오나라 군사는 크게 패하여 진황(秦晃) 등 10여 명의 장수를 잃었다. 당시 고담의 아우 고승(顧承)과 장휴(張休)의 두 부장(部將)은 수춘(壽春:안휘성에 있음)에서 작전중이었는데, 작피의 패전 소식을 듣고 즉각 구원하러 가서 위나라 왕릉의 군사를 저지하였다.

전종의 아들 전서(全緖)와 조카 전서(全瑞)도 오나라 군사의 부장으로서 종군하고 있었는데, 위나라 군사의 추격이 저지당하였다는 것을 알고는 반격으로 전환하였다. 위나라 군사는 반격에 견디지 못하고 패주(敗走)하였다. 전투가 끝난 후 오나라 수도 건업(建業)에서 ‘공적을 조사하여 상을 주었는데 각각 차이를 두었다[論功行賞 各有差(논공행상 각유차)].’ 위나라 군사를 저지한 공을 갑, 반격한 공을 을로 하였으므로, 고승과 장휴에게는 정장군(正將軍)의 칭호를, 두 전서에게는 편장(偏將)의 칭호를 내렸다.

이 일로 전종·전기 부자의 고담 형제에 대한 원망은 더욱 가중되었다. 그들은 손패를 통하여
손권에게 상신(上申)하였다. “고승과 장휴는 전군(典軍) 진순(陣恂)과 친하기 때문에 전공을 그릇 보고하여 주군을 기민한 것입니다.”손권은 조사를 해보지도 않고 이 말을 믿고서, 장휴는 체포하고 고승의 처분은 보류시킨 채 고담에 대해서는 사죄를 받고 용서하기로 했다. 다음 날 고담에게 말하였다. “계씨(季氏) 고승의 건은 어떻게 할 셈이오?” 고담은 사죄는커녕 도리어 그릇된 상신을 믿는 손권을 책하였다. 손권은 노하여 고담·고승 형제를 지방으로 좌천시켰다. 이 일로 인한 고담의 비분(悲憤)의 정을《신언(新言)》20편으로 엮어 썼는데, 2년 뒤에 그 땅에서 죽었다.

논공행상이 공정하지 못하면 그 결과는 군신간의 신뢰가 떨어지고 신료(臣僚) 간에 암투(暗鬪)를 싹트게 하여 나중에 가서는 큰 분란(紛亂)을 초래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논공행상 [論功行賞]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