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55일차
(1) 옥오지애(屋烏之愛) 집 옥, 까마귀 오, 어조사 지, 사랑할 애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집 위에 앉은 까마귀도 사랑스럽다는 뜻.
사랑하게 되면 상대방의 모든 것이 좋아보인다는 말로 쓰임.
(2) 무산지몽(巫山之夢) 무당 무, 뫼 산, 어조사 지, 꿈 몽
무산의 꿈이란 말로 남녀간의 은밀한 정교를 말한다.
《문선(文選)》에 수록된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서 비롯된 말이다. 전국시대 초(楚)의 양왕(襄王)이 송옥과 함께
운몽(雲夢)이라는 곳에서 놀다가 고당관에 이르게 되었다. 문득 하늘을
보니 이상한 형상의 구름이 피어오르고 있어 송옥에게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러자 송옥은 그 구름이
조운(朝雲)이며,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옛날 어떤 왕이 고당관에서 연회를 열고 즐기다가 잠시 낮잠을
자게 되었는데, 꿈속에 아름다운 여인이 찾아와 말하기를 "저는 무산에 사는 여인이온데, 왕께서 고당에 오셨다는 말을 듣고 잠자리를 받들고자
왔습니다" 하였다. 왕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빠져 스스럼없이 운우의 정(雲雨之情)을 나누었다. 헤어질 무렵이 되자 그 여인은 이런 말을
하였다. "저는 무산 남쪽의 험준한 곳에 살고 있는 여인이온데,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 아래에서 아침 저녁으로 당신을
그리워하고 있을 것입니다(妾在巫山之陽 高山之岨 且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 말이 끝나자 여인은 자취를 감추었고, 왕은 퍼뜩
잠에서 깨어났다. 다음날 아침 왕이 무산 쪽을 바라보니 여인의 말대로 산봉우리에 아름다운 구름이 걸려 있었다. 왕은 여인을 그리워하며 그곳에
조운묘(朝雲廟)라는 사당을 세웠다. 그후로 무산의 꿈이 남녀간의 정교를
의미하게 되었다.
여기서 양대란 해가 잘 비치는 대라는 뜻인 동시에 은밀히
나누는 사랑을 말한다. 그래서 양대불귀지운(陽臺不歸之雲)이라 하면 한 번 인연을 맺고 다시 만나지 못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무산지운(巫山之雲), 무산지우(巫山之雨), 운우지락(雲雨之樂), 운우지정(雲雨之情)과 같은 말이며, 운우지교(雲雨之交)도 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산지몽 [巫山之夢] (두산백과)
(3) 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할 애, 따로 떨어질 별, 이별할 리, 괴로울 고
불교용어의 하나.
별리의 괴로움을 나타내는 말로, 부자, 형제, 부부등이 헤어지는 고통을 뜻한다.
(4) 종천지모(終天之慕) 마칠 종, 하늘 천, 어조사 지, 사모할 모
이 세상이 다할 때까지 사모하겠다는 말.
즉, 끝없는 사랑을 말한다. Endless love라고나 할 까~~~
'사자성어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마지양(犬馬之養) / 사자성어 공부(57) (0) | 2017.05.11 |
---|---|
범태육신(凡胎肉身) / 사자성어 공부(56) (0) | 2017.05.11 |
좌향기성(坐享其成) / 사자성어 공부(54) (0) | 2017.05.11 |
안연무양(安然無恙) / 사자성어 공부(53) (0) | 2017.05.11 |
삼성오신(三省吾身) / 사자성어 공부(52) (0) | 2017.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