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다마(好事多魔) / 사자성어 공부(50)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50일차 (1) 호사다마(好事多魔) 좋을 호, 일 사, 많을 다, 마귀 마 좋은 일에는 또 안좋은 일도 섞여 나온다는 말로 계속 좋은 일만 바랄수는 없다는 말이다. 청나라때의 조설근이 지은 홍루몽에 "그런 홍진 세상에 즐거운 일들이 있지만 영원히 의지할 수만은 없다,..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10
구밀복검(口蜜腹劍) / 사자성어 공부(49)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9일차 (1) 구밀복검(口蜜腹劍)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말로 겉으로는 친한 척 하지만 속으로는 나쁜 생각을 갖거나 뒤돌아서 헐뜯는 경우를 말한다. 십팔사략에 나오는 고사이다. 당나라의 현종은 치세 초기에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10
각곡유아(刻鵠類鵝) / 사자성어 공부(48)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8일차 (1) 각곡유아(刻鵠類鵝) 새길 각, 고니 곡, 무리 류, 거위 아 고니를 새기려다 잘못해도 거위는 된다는 말. 성현이 되려고 노력했으나 이루지 못했어도 선인은 된다는 말로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면 어느 정도의 성과는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비슷한 뜻으로..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9
교언영색(巧言令色) / 사자성어 공부(47)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7일차 (1) 교언영색(巧言令色) 공교로울 교, 말씀 언, 하여금 영, 빛 색 교묘한 말과 알랑거리는 얼굴 논어에 나오는 말로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을 하는 사람들 중에 착한 사람이 적다."는 뜻이다. 즉, 말을 그럴듯하게 잘 둘러대거나 남의 비위만 잘 맞춰주..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8
오리무중(五里霧中) / 사자성어 공부(46)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6일차 (1) 오리무중(五里霧中) 다섯 오, 마을 리, 안개 무, 가운데 중 온 사방이 안개에 뒤덮혀 앞을 볼수가 없다는 말로 일을 진행함에 있어 방향을 잡을 수 없이 혼란스러울때 쓰는 말이다. 후한(後漢) 시대의 학자 장패의 아들 장해는 여러 학문에 정통하였는데..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7
오비이락(烏飛梨落) / 사자성어 공부(45)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5일차 (1)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오, 날 비, 배나무 리, 떨어질 락 까마귀날자 배 떨어진다는 말로 우연히 맞아떨어진 일로 인해 오해를 받는것을 말한다. 같은 뜻으로 "소금장사 소금팔러 가니 비온다", "도둑을 맞으려면 개도 안 짖는다." 가 있다. (2) 점입가..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6
당랑거철(螳螂拒轍) / 사자성어 공부(44)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4일차 (1) 당랑거철(螳螂拒轍) 사마귀 당, 사마귀랑, 막을 거, 바퀴자국 철 사마귀가 수레를 막아선다는 것으로 제 분수를 모르고 당적할 수 없는 것에 대항하려 하는것을 지적하는 말이다. [장자]에 실려있는 이야기이다. 장여면이 계철을 만나 말했다. "노나라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5
교주고슬(膠柱鼓瑟) / 사자성어 공부(43)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3일차 (1) 교주고슬(膠柱鼓瑟) 붙일 고, 기둥 주, 칠 고, 거문고 슬 거문고 기둥을 아교로 붙여서 연주함이란 말로, 터무니 없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멍청한 행동을 말한다. 史記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조나라의 명장군 조사는 자신의 아들 조괄이 군대의 ..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4
견마지로(犬馬之勞) / 사자성어 공부(42)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2일차 (1) 견마지로(犬馬之勞) 개 견, 말 마, 갈 지, 힘쓸 로 개나 말등 하찮은 힘으로 큰 일을 위해 힘을 쓰는 것. 견마는 본래 하찮은 신분을 나타내는 말이며 비슷한 말로 한마공로, 한마지로가 있다. 땀 한자를 써서 전장에서 땀을 흘리면 충성을 다하는 것을 말..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3
토사구팽(兎死狗烹) / 사자성어 공부(41) 사자성어(四字成語) 공부 41일차 (1)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 토, 죽을 사, 개 구, 삶을 팽 토끼를 사냥하고 나면 사냥개도 필요없어져서 잡아먹힌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필요없어지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범려는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句.. 사자성어 공부방 2017.05.02